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일동제약
- KT
- 레고켐바이오
- 유한양행
- 오늘의명언
- 삼성전자
- 포스코케미칼
- 한미약품
- SK하이닉스
- 관심주
- 특징주
- 이재명
- 신풍제약
- 현대로템
- 오늘의글
- 삼성sdi
- HK이노엔
- 위메이드
- 에이프로젠
- SK바이오사이언스
- 윤석열
- LG에너지솔루션
- ChatGPT
- 대웅제약
- 셀트리온
- GC녹십자
- 챗GPT
- 에스디바이오센서
- 현대차
- 레인보우로보틱스
- Today
- Total
목록바이오제약건강 (158)
핫토픽 톱뉴스

[서울=뉴스핌] 김경민 기자 = 종근당바이오가 보툴리눔 톡신 제제 미용용에 이어 치료용으로 임상 영역을 확장한다. 보툴리눔 톡신 제제 적응증(사용범위)을 확대하면서 종근당바이오는 사업에 시동을 걸고 있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종근당바이오는 최근 보툴리눔 톡신 제제 'CKDB-501A'를 뇌졸중 후 상지근육 경직 치료를 적응증으로 하는 임상 1상 시험계획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 받았다. 임상 1상은 성인 24명을 대상으로 보라매병원과 서울대병원 등에서 진행된다. 이번 임상을 통해 뇌졸중 후 상지근육 경직 개선에 있어 CKDB-501A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인할 예정이다. [로고=종근당바이오] 뇌졸중 후 상지근육 경직은 뇌의 중추신경 손상으로 인한 후유증을 의미한다. 신경학적·기능적 회복에 심각한 장..
코로나19로 2020~2021년 온라인 개최 국내 기업 14곳 참석 미국암연구학회(AACR) 연례 학술대회가 올해 3년 만에 현장 개최된다. 국내에서는 14개 기업이 참석할 예정이다. 유한양행과 브릿지바이오 등은 연내 임상 1상 진입을 목표하는 후보물질의 전임상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7일 업계에 따르면 2022년 AACR은 내달 8~13일(현지시간) 미국 뉴올리언스에서 열린다. 지난 2년간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으로 진행됐던 만큼 대면 개최에 대한 기대감이 높다. AACR은 매년 세계 120여개국 제약·바이오 기업이 참석하는 암 관련 학술대회다. 미국임상종양학회(ASCO)와 유럽종양학회(ESMO)와 함께 세계 3대 암 관련 학회로 구분된다. 그 중 AACR에서는 주로 동물실험 등 전임상 결과가 발표..

[프라임경제] 3월28일 제약,병원 및 바이오업계 소식. JW중외제약(001060)의 베트남 법인 유비팜JSC(이하 유비팜)이 최근 롱안성 통일회관에서 열린 '롱안성 코참 투자협의회 발대식'에서 코로나19 위기 극복에 앞장선 공로로 감사패를 받았다. 롱안성 인민위원회 주관으로 열린 이번 행사에서 유비팜은 베트남 핵심 경제지역인 롱안성 지역의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방역 물품 후원과 코참 투자협의회 발족을 위한 지원 등의 공로를 인정받아 감사패를 받았다. 유비팜은 현지 공장에서 직접 생산하고 있는 해열제 2만 개와 보건용 마스크 4만 장을 후원했으며, 코참 투자협의회와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자선기금 마련에 동참했다. 또 협의회 발족을 위한 자문 역할도 맡았다. 코참 투자협의회는 롱안성 내 한국 기업..

- 접합체로 항체와 약물 연결하는 항체약물접합(ADC) 기술 - 이중·삼중항체 개발에 용이, 2세대 ADC 기술 연구 활발 - 빅파마-ADC 업체, 신약 개발 연구 협약 속속 체결 - 국내 제약사도 자체 ADC 기술로 신약 개발 중 [이데일리 김진호 기자]세계 제약바이오 업계에서 항체약물접합(ADC) 기술 확보를 위한 각축전이 펼쳐지고 있다. ADC가 이중·삼중항체 신약 후보물질을 설계할 때 유용하게 쓰이고 있어서다. 최근 글로벌 제약사(빅파마)들은 ADC 기업과 협력을 더욱 강화하는 추세다. 국내 바이오 기업도 ADC 기술을 확보해 신약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ADC로 ‘약물+약물’·‘약물+전달체’ 등 신약 설계 가능 2000년대 초반부터 연구된 ADC 기술은 약물-항체 결합(DAR) 비율을 ..

지놈앤컴퍼니 미생물팀 연구원이 실험을하고 있다. 출처=지놈앤컴퍼니 [이코노믹리뷰=곽예지 기자] 전 세계적으로 항체약물접합제(ADC) 항암제 사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글로벌 제약기업인 얀센과 일라이릴리 등이 ADC 항암제 기술을 도입하면서다.국내제약바이오 업체들도ADC 사업 확대에 적극나서고 있다. 17일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레고켐바이오(141080)와 지놈앤컴퍼니(314130)가 내달 개최 예정인미국암연구학회(AACR)에서 ADC 관련 발표를 진행할 예정이다. 전 세계적으로 ADC 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다. 지난달에는 얀센과 일라이릴리 등 글로벌 대형 제약사들은 ADC 기반 항암제 기술 도입을 위해 32억8,600만달러(약 4조원)를 투자했다. 의약품 시장 조사기업인 코텔리스에 따르면 세계..

- PEF로부터 1400억원 투자 유치…최대주주 변경 - 양윤선 대표, 자신 보유 40만주도 PEF에 넘겨 - 美세포유전자치료제 기업에 850억원 투자 - 카티스템·SMUP-IA-01, 미국 내 임상에도 550억원 활용 [이데일리 김영환 기자] 1세대 무릎 골관절염 줄기세포 치료제 카티스템으로 유명한 메디포스트(078160)가 1400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고 세계 최대 시장인 북미시장 진출을 가속화한다. 메디포스트는 북미 지역 세포유전자치료제 CDMO 기업에 투자하는 한편, 미국 내 임상에도 투자금을 활용할 예정이다. 메디포스트는 17일 국내 사모펀드(PEF) 운용사인 스카이레이크에쿼티파트너스(이하 스카이레이크) 및 크레센도에쿼티파트너스(이하 크레센도)와 제3자 배정 자금 조달 방식으로 총 1400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