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레고켐바이오
- 현대로템
- 일동제약
- 삼성sdi
- 삼성전자
- 포스코케미칼
- 관심주
- LG에너지솔루션
- 오늘의명언
- 셀트리온
- 유한양행
- 이재명
- 대웅제약
- 레인보우로보틱스
- 에스디바이오센서
- 챗GPT
- 윤석열
- 신풍제약
- 한미약품
- ChatGPT
- KT
- 오늘의글
- 에이프로젠
- GC녹십자
- 위메이드
- 현대차
- HK이노엔
- 특징주
- SK하이닉스
- SK바이오사이언스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542)
핫토픽 톱뉴스
올 들어 국내 증시의 수급 부담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 여러 악재로 가격 조정을 받은 성장주 중에서 2차전지 관련주들의 반등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천보, 에코프로비엠, SKC 등 2차전지 관련주들은 지정학적 위기 속에서도 3거래일 연속 강세를 이어가고 있다. 올 들어 성장주 약세와 맞물려 긴 조정을 받은 종목들을 위주로 반등에 시동을 걸고 있는 모습이다. 지난 2월 한 달간 LG에너지솔루션(-8.44%), 삼성SDI(-6.16%), SK이노베이션(-7.18%) 등 완성 배터리 업체들은 조정폭이 컸다. 전기차 배터리 필수 소재인 동박 생산업체 SKC(-1.79%)와 일진머티리얼즈(-2.99%), 솔루스첨단소재(-6.80%)도 주가가 빠졌다. 증권가에선 가격 조정이 컸던 종..
(서울=연합뉴스) 윤선희 기자 = 미래에셋증권[006800]은 반도체와 운송, 은행 등 업종 기업의 이익 전망치를 상향 조정하고 이달에 시장 비중보다 늘리는 전략을 제시했다. 유명간 연구원은 2일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지정학적 위험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면서 국내 기업들의 1분기와 올해 영업이익 전망치가 최근 1개월간 각각 7.0%, 3.3% 하향 조정됐다고 설명했다. 업종별로 1개월 전과 비교한 올해 이익 전망치 조정을 보면 유틸리티(적자폭 확대), 호텔·레저(-19.4%), 화학(-13.8%), 소프트웨어(-8.0%), 철강(-6.0%), 유통(-5.4%), 미디어(-5.3%) 등의 업종 이익 하향 조정 폭이 컸다. 반면 운송은 9.4% 상향 조정됐고 반도체(3.7%), 정보기술(IT)하드웨어(2.5..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r7V6p/btruWP1QsBZ/Bd6vG5I4gTG3XuH50DBPaK/img.jpg)
[머니투데이 이창섭 기자] GC녹십자의 정맥 내 면역글로불린 제제 '아이비글로불린에스엔주(IVIG-SN) 10%'가 미국 식품의약처(FDA)로부터 보완요구서한(CRL)을 수령했지만 미국 시장 진출에는 문제가 없을 것이란 낙관적 전망이 우세하다. 이 회사는 지난 2016년과 2017년에도 IVIG-SN 5% 제품에 대해 FDA 승인을 얻지 못했다. 그러나 이번에는 생산시설 현장 실사를 하지 않았을 뿐 제품의 기술적 문제는 전혀 없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GC녹십자는 최대한 빠른 시일 이내에 재제출을 한 뒤 공장 실사를 마쳐 연내 승인을 받겠다는 계획이다. 2일 업계에 따르면 GC녹십자는 최근 FDA로부터 면역글로불린 제제 IVIG-SN 10%(제품명: ALYGLO)의 생물의약품 신약 허가 신청(BLA)..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EAMoH/btruUoRlvgj/QyvCKtjCxyNOXkcXYYNwmk/img.jpg)
[서울=뉴스핌] 김경민 기자 = GC녹십자는 지난달 28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소아 희귀간질환 신약인 '마라릭시뱃(Maralixibat)'의 NDA(신약허가신청)을 했다고 2일 밝혔다. 마라릭시뱃은 간 담도가 감소하고 담즙이 정체되는 소아 희귀 유전 질환인 '알라질 증후군(ALGS)' 치료제다. ALGS는 현재 간이식이 유일한 치료법이다. 앞서 GC녹십자는 지난해 7월 미국 미럼 파마슈티컬스(Mirum Pharmaceuticals)와 마라릭시뱃의 국내 독점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마라릭시뱃은 2019년 미국 FDA로부터 '혁신치료제(Breakthrough Therapy)'로 지정받아, 지난해 9월 ALGS의 담즙정체성 소양증 치료제로 FDA의 품목 허가 승인을 받았다. 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L8zb4/btruI7344Fi/DAM0dB2uJ0k8MwS9keVxbK/img.jpg)
[이데일리 송승현 기자] 기아(000270)는 지난달 글로벌 판매량이 22만1152대로 전년 동기 대비 4.7% 증가했다고 2일 밝혔다. 경쟁력 있는 신차 출시(EV6, 니로, 스포티지, 카렌스(인도전략차종) 등), 반도체 부품 수급 문제의 점진적 완화, 반도체의 유연한 배분 등으로 2021년 8월 이후 6개월만에 전년 동월 대비 성장을 기록했다. 차종별 실적은 스포티지가 2만 4768대로 글로벌 시장에서 가장 많이 판매됐으며 셀토스가 2만 4415대, 리오(프라이드)가 1만 8427대로 뒤를 이었다. 구체적으로 내수는 3만 9560대로 전년 동기 대비 5.3% 증가했다. 지난달 가장 많이 팔린 차량은 봉고Ⅲ로 6230대가 판매됐다. 승용 모델은 레이 3218대, K8 2932대, K5 2562대 등 총..
에스디바이오센서(대표 이효근·허태영)는 바이오 기업 여러 곳에 지분투자를 늘리고는 있지만 역시 방향이 뚜렷하지 않다. 최대주주인 조영식 의장이 지분 전량을 보유한 투자사 에스디비인베스트먼트와 자회사 바이오노트 등이 나서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부터 에스디비인베스트먼트는 씨티씨바이오를, 바이오노트는 유바이오로직스와 엔에이백신연구소, 파마리서치바이오 등의 지분을 취득해왔다. 에스디바이오센서는 브라질 기업 에코디아그노스티카를 인수했다. 그러나 투자기업들의 방향이 제각각이어서 시너지효과는 잠재적인 파이프라인 확보 정도에 그칠 것이란 분석이다. 씨티씨바이오는 미생물발효기술, 약물코팅기술, 약물전달기술 등을 보유한 인체약품, 동물약품 제조 판매업체다. 유바이오로직스는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한창이며, 파마리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eypGV/btruNVQuuu6/lO23i5DcXvJpm39M12QQjK/img.jpg)
LG엔솔·아프리카TV, BBIG K-뉴딜지수 편입…LG화학 등 제외 거래소, K-뉴딜지수 정기 변경 발표 (서울=연합뉴스) 이미령 기자 = 'KRX BBIG K-뉴딜지수'에 LG에너지솔루션과 아프리카TV[067160]가 편입되고 LG화학[051910]과 더존비즈온[012510]이 제외된다. 한국거래소는 오는 11일 K-뉴딜지수 5종의 구성 종목을 정기 변경한다고 2일 공지했다. K-뉴딜지수는 미래 성장주도 산업으로 주목받는 바이오·배터리·인터넷·게임(BBIG) 업종별 우량 종목으로 구성된 지수다. 지수 변경 결과, BBIG 4개 업종별 '톱3' 종목으로 구성된 'BBIG 지수'에는 LG에너지솔루션과 아프리카TV가 새롭게 들어가고 LG화학과 더존비즈온이 빠지는 등 2개 종목이 교체된다. 'KRX2 2차전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qE8yb/btruLtmvJxP/5P1HFFsXKgHpcvrB5f5zQ0/img.jpg)
[이투데이/남주현 기자(jooh@etoday.co.kr)] 오미크론 변이 유행 정점이 지났다고 판단한 유럽과 미국 등 선진국들이 방역 문턱을 낮추면서 미용 의료업계들의 리오프닝(경기 재개)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에스테틱 의료기기 수출 작년 12월 사상 최고…유럽·미국 마스크 착용의무 없애 2일 관세청에 따르면 에스에틱 의료기기는 지난해 12월 8004만 달러(약 954억 원)의 수출로 월간 기준 사상 최고 기록을 세웠다. 전년대비 41.8%, 전월에 비해서도 22.3% 상승한 수치다. 올해 1월에는 설 연휴 등으로 5969만 달러(약 711억 원)에 그쳤지만 전년 동기보다는 31.6% 늘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다소 주춤했던 2020년과 달리 지난해 에스에틱 의료기기 수출 분위기는 좋다. 작년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