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특징주
- 관심주
- 챗GPT
- 레인보우로보틱스
- 위메이드
- KT
- 신풍제약
- SK하이닉스
- 일동제약
- HK이노엔
- 오늘의글
- 유한양행
- 이재명
- 대웅제약
- GC녹십자
- 포스코케미칼
- 에이프로젠
- ChatGPT
- SK바이오사이언스
- 현대로템
- 윤석열
- LG에너지솔루션
- 레고켐바이오
- 에스디바이오센서
- 삼성전자
- 오늘의명언
- 한미약품
- 현대차
- 삼성sdi
- 셀트리온
- Today
- Total
목록바이오제약건강 (157)
핫토픽 톱뉴스
유럽서 차세대 분자진단장비 2종 실증연구 결과 발표 ▷동사는 언론을 통해 자체 개발한 차세대 분자진단장비 2종이 15~18일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린 '2023 유럽 임상미생물학·감염병학회(ECCMID)'에서 잠재 고객층인 의사·교수를 포함한 감염병·분자진단 전문가들로부터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고 밝힘. ▷이와 관련, 이종석 국제결핵연구소 박사는 최대 40개 병원체 감염 여부 등을 판별할 수 있는 동사의 현장 분자진단장비 IRON-qPCR™과 결핵 및 다제내성 결핵균 검사키트가 세계 시장 점유율 1위 제품(GeneXpert와 Xpert MTB/RIF Ultra)과 동등 이상의 정확도를 보여줬으며, 이갑노 고려대 진단검사의학과 명예교수는 동사의 기존 장비(ExiStation™ 및 ExiStation™ 48)..
약국에서 구입하는 진통제는 크게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으로 된 '해열진통제'와 이부프로펜, 아스피린 등의 비스테로이드 성분으로 된 '소염진통제'로 나뉜다. 해열진통제는 통증 완화·해열 효과가 있고, 소염진통제는 이 두 가지 효과 외에 '염증'을 없애는 작용까지 한다. 약국에서 판매되는 약 중에서 타이레놀(얀센), 펜잘(종근당), 게보린(삼진제약)은 해열진통제 이며, 아스피린(바이엘), 애드빌(GSK컨슈머헬스케어), 이지엔6(대웅제약)는 소염진통제다. 해열진통제는 간 기능을 떨어뜨리고, 소염진통제는 위장 기능을 떨어뜨리는 부작용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의 건강 상태와 통증 양상을 모두 고려해 적합한 진통제 종류를 선택해야 한다. 해열진통제의 주요 성분은 주로 간에서 분해된다. 따라서 약을 먹으면 금방 피로..

네오이뮨텍은 재발 교모세포종(뇌암의 일종) 환자를 대상으로 면역관문억제제 키트루다와 NT-I7(efineptakin alfa)의 병용 임상 2상(NIT-120)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았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임상은 뇌암 연구의 권위자인 미국 메이요 클리닉의 지안 캠피안 교수가 주도하는 연구자 임상(Investigator-Initiated Trial, IIT)이다. 머크는 무상으로 키트루다를 공급하고, 네오이뮨텍은 NT-I7을 공급해 진행, 안전성 및 치료효능(생존율)을 평가할 예정이다. 연구진은 면역관문억제제와 T 세포 증폭제의 병용투여를 통해 재발 교모세포종 환자의 T 세포 반응을 극대화시켜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재발 교모세포종의 생존율은 6개월 미만으로..

[머니투데이 정기종 기자] 中 포선제약에 이전한 유방암 치료 후보물질 1a상 결과 도출 전망 수출 ADC 파이프라인 첫 성과 이어 후속품목도 속속 임상 진입 자체개발 ADC 항암제 'LCB84', 연내 美 IND 제출 목표] 항체-약물 결합체(ADC) 플랫폼 강자 레고켐바이오테라퓨틱스의 투트랙 전략이 본궤도 진입을 앞두고 있다. 기술수출에선 첫 임상 결과 발표가 예정돼 있고, 자체 개발중인 신약의 임상시험도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돼서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레고켐바이오는 지난 2015년 중국 포선파마(복성제약)에 기술이전한 'LCB14'의 유방암 대상 현지 임상 1a상 결과를 올해안에 발표한다는 목표다. 여기에 올해안에 자체개발 항암제 'LCB84'의 미국 임상시험계획(IND) 제출이 기대된다는 평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