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SK바이오사이언스
- 현대차
- 셀트리온
- 포스코케미칼
- 삼성sdi
- 레인보우로보틱스
- 삼성전자
- 에이프로젠
- HK이노엔
- 챗GPT
- 현대로템
- 오늘의글
- 유한양행
- 레고켐바이오
- SK하이닉스
- 특징주
- 일동제약
- 대웅제약
- 에스디바이오센서
- 신풍제약
- 윤석열
- ChatGPT
- 이재명
- 오늘의명언
- 한미약품
- KT
- 관심주
- GC녹십자
- LG에너지솔루션
- 위메이드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549)
핫토픽 톱뉴스
▲LG생활건강(051900)=미국 더크렘샵 주식 65만 주 규모 취득 결정 ▲광동제약=567억 원 규모 사옥 신축 ▲GS건설=3406억 원 규모 광주 운암3단지 주택재건축정비사업 수주 ▲HDC현대산업개발(294870)=2930억 원 규모 상계1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 수주 ▲제이콘텐트리=최대주주 중앙홀딩스에 200억 원 금전대여 결정 ▲국보=40억 원 규모 유비플러스 무보증 사모전환사채 취득 ▲코오롱=자회사 코오롱글로벌이 대현지역주택조합 채무 400억 원 보증 결정 ▲센트럴인사이트(012600)=아쉬세븐에서 대운에너지로 최대주주 변경 ▲HSD엔진(082740)=대우조선해양과 1165억 원 규모 선박용 엔진 공급계약 ▲태영건설(009410)=계열사 태영디앤아이에 140억 원 금전대여 ▲포스코케미칼(00367..

[이투데이/김상영 기자(ksy2291@etoday.co.kr)] 오세훈 시장 '3대 혁신방안' 발표 하계5단지 포함 24개 단지 대상 부족한 녹지·생활기반시설 확보 '서울형 주거면적기준' 신규 도입 국내 1호 영구임대주택인 노원구 ‘하계5단지’가 고품질 임대주택으로 탈바꿈한다. 하계5단지를 시작으로 노후 임대주택 24개 단지도 재정비된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18일 하계5단지를 방문해 ‘서울 임대주택 3대 혁신방안’ 발표했다. 여기에는 △쾌적하고 안전한 주거공간을 위한 품질 개선 △차별?소외를 원천 차단하는 완전한 소셜믹스 △준공 30년이 넘은 노후단지 단계적 재정비가 포함됐다. 오 시장은 “임대주택을 자괴감이 아닌 자부심을 느끼는 공간으로 혁신하겠다”고 했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2026년까지 준공 30..

[이투데이/유하영 수습 기자(haha@etoday.co.kr)] 18일 비상장 주식 시장이 상승 반전했다. 38커뮤니케이션에 따르면 이차전지용 부품업체 에이치와이티씨, 폐기물 재활용 및 수처리 약품 전문기업 새빗켐, 주형 및 금형 제조 토탈 솔루션 전문업체 모델솔루션은 지난 15일 코스닥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 청구서를 제출했다. IPO(기업공개)관련 상장 예비심사 청구 종목으로 석유 정제 전문기업 현대오일뱅크가 6만1500원(2.50%)으로 올랐다. 바이오 전문 신약 개발업체 디앤디파마텍은 호가 5만4000원(-12.20%)으로 급락했고, 인공지능 영상진단 전문기업 루닛이 8만5000원(-1.73%)으로 약세를 이어갔다. 코로나19 진단키트 개발업체 솔젠트는 호가 9250원(-5.61%)으로 하락했다. ..

WHO "새 전염병 온다" 경고 충분한 의료진·병상 확보 등 감염병 대응시스템 구축 시급 정부가 2년 1개월 동안 지속해온 사회적 거리 두기를 18일부터 전면 해제한다. 5월 하순에는 확진자 격리도 하지 않고 독감처럼 관리하는 엔데믹(풍토병화)을 시도한다. 감당할 수 있는 수준에서 피해를 관리하며 일상으로 돌아간다는 의미다. 하지만 안심할 수는 없다. 세계보건기구(WHO) 등은 수년 안에 새로운 질병이 다시 전 세계를 휩쓸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제2의 코로나’를 대비하기 위해 기존 경험을 살려 백신·치료제 개발 역량을 제대로 갖추고 민간 병원을 필두로 한 감염병 대응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17일 감염병 전문가들에 따르면 2009년 신종플루, 2015년 메르스, 2020년 ..
[서울=뉴스핌] 로보뉴스 = 키움증권에서 18일 한미약품(128940)에 대해 '양호한 실적 예상. 올해는 글로벌 상용화 목표'라며 투자의견 'Outperform(Downgrade)'의 신규 리포트를 발행하였고, 목표가 360,000원을 내놓았다. 전일 종가 기준으로 볼 때, 이 종목의 주가는 목표가 대비 17.3%의 추가 상승여력이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 한미약품 리포트 주요내용 키움증권에서 한미약품(128940)에 대해 '1분기는 고른 ETC 성장과 북경한미 실적 개선 지속으로 시장 기대치를 상회하는 양호한 실적이 기대됨. 하반기 포지오티닙(미국), 롤론티스(미국), 오락솔(영국) 허가가 예상되며, 연말 NASH 치료제 듀얼 어고니스트 2a상 종료가 예정되어 있는 등 하반기 다수 모멘텀을 앞두고..

2020년과 2021년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진단키트와 백신기업, CMO 기업이 주식시장에서 빛을 발했다. 하지만 코로나 안정화에 따른 진단키트 및 백신 수요 감소는 주식시장의 주인공이었던 바이오주를 한 순간에 무대 뒷편으로 소외시켰다. 바이오주에 더이상 모멘텀은 없는 것일까? 는 이지수 다올투자증권 연구원이 발간한 '바이오 투자를 위한 세 가지 처방전'을 이주의 보고서로 선정했다. 이지수연구원은 이러한 상황에서도 CMO 기업과 신약개발 기업, 밸류에이션 매력이 충분한 전통 제약사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CMO, 코로나 안정화 이후에도 호황기 이어진다 CMO(위탁생산) 산업은 코로나19 안정화에 따른 부정적 영향이 적을 것이다. 중소형 바이오 벤처의 시장 진입과 글로벌 제약사의 치료제 영역 ..

AACR 홈페이지 캡처. 출처=AACR 세계 3대 암학회로 꼽히는 '미국암연구학회 연례학술대회'(AACR)가 3년 만에 대면개최된가운데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차세대 항암제 연구결과를 선보였다. AI(인공지능) 플랫폼 기술 업체들도 홍보에 열을 올렸다. 올해 AACR은 지난 8~13일(현지시간)까지 미국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에서 개최됐다. AACR은 전 세계 120여개국, 4만여명의 회원을 보유한 국제 암학회다. 코로나19 팬데믹 사태 톨 지난 2년간 온라인으로 개최됐다.올해는3년 만에 대면으로 열렸다. 유한양행(000100)은 에이비엘바이오(298380)와 공동으로 개발 중인 후보물질 'YH32367'에 대한 연구결과를발표했다. YH32367은 종양특이적 면역활성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종양세포 성장을..
[이데일리 김겨레 기자] 키움증권(039490)은 제약·바이오 전문 뉴스 서비스인 ‘팜이데일리’를 오픈했다고 18일 밝혔다. 팜이데일리는 제약, 바이오 투자자를 위한 뉴스서비스다. 이 서비스는 국내 대표적인 종합 경제매체인 이데일리의 제약, 바이오 전문기자 10명이 발로 뛰며 발굴, 취재한 투자자향 뉴스와 심층분석을 담고 있다. 코스닥 시장에서 개인투자자의 바이오 투자에 대한 관심도는 높지만 알짜 뉴스정보는 찾기 힘든 상황이다. 예컨대 기술특례로 상장한 바이오텍 대부분은 매출은 없고 영업손실이 매년 반복되고 있지만 이를 다루는 콘텐츠는 드물다. 제약, 바이오 투자가 실적, 수급, 재료(뉴스·공시) 등과 관계없이 이뤄지다 보니 투자손실을 피하지 못하는 개인투자자들이 많다. 이런 상호아에서 바이오 투자자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