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토픽 톱뉴스

WHO "새 전염병 온다" 경고...감염병 대응시스템 구축 시급 본문

바이오제약건강

WHO "새 전염병 온다" 경고...감염병 대응시스템 구축 시급

NewBrain 2022. 4. 18. 10:45

WHO "새 전염병 온다" 경고
충분한 의료진·병상 확보 등
감염병 대응시스템 구축 시급



정부가 2년 1개월 동안 지속해온 사회적 거리 두기를 18일부터 전면 해제한다. 5월 하순에는 확진자 격리도 하지 않고 독감처럼 관리하는 엔데믹(풍토병화)을 시도한다. 감당할 수 있는 수준에서 피해를 관리하며 일상으로 돌아간다는 의미다. 하지만 안심할 수는 없다. 세계보건기구(WHO) 등은 수년 안에 새로운 질병이 다시 전 세계를 휩쓸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제2의 코로나’를 대비하기 위해 기존 경험을 살려 백신·치료제 개발 역량을 제대로 갖추고 민간 병원을 필두로 한 감염병 대응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17일 감염병 전문가들에 따르면 2009년 신종플루, 2015년 메르스, 2020년 코로나19 등이 창궐했던 것처럼 앞으로도 코로나19 변이를 포함해 새로운 전염병이 등장할 가능성이 크다. 앤서니 파우치 미국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소장은 “올가을에 신종 변이가 유행하며 코로나19 재확산이 일어날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다. 전문가들이 일상 회복을 시도하면서도 지난 2년간의 코로나19 대응을 뒤돌아보고 개선점을 찾아 미리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하는 이유다.

 



‘K방역’은 팬데믹 초기 전 세계의 부러움을 사기도 했다. 하지만 국산 백신·치료제 부재와 미흡한 의료 대응 등은 아쉬웠다. WHO가 화이자·모더나·얀센·아스트라제네카·시노백 등 8개의 백신을 승인하는 동안 우리나라는 단 한 개의 백신도 승인 목록에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올 상반기 허가를 목표로 하고 있는 SK바이오사이언스(302440), 최근 3상에 진입한 유바이오로직스(206650)를 제외하면 모두 초기 임상에 머물고 있다. 치료제 분야에서는 셀트리온(068270)의 ‘렉키로나’가 유일하게 국내외에서 허가를 획득했지만 경증 대상이 아니고 주사제 방식이어서 범용성이 떨어지다 보니 외산 ‘먹는 치료제’에 밀렸다. 전문가들은 정부 차원의 백신·치료제 개발이 필요하다고 역설한다. 묵현상 국가신약개발사업단장은 “우리나라는 신약 개발을 처음부터 끝까지 해본 경험이 별로 없는 나라임에도 민간 주도로 한 번도 해보지 않은 임상 시험에 들어갔다”면서 “정부가 대규모 재정을 투입해 감염병 연구소를 중심으로 신약 개발을 해나가야 다른 형태의 전염병이 올 때 신약이 우리 손에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2년여간 확진자와 위중증 환자가 늘어날 때 병상 부족 현상은 매번 반복됐다. 특히 지난해 성급한 일상 회복이 도입되면서 의료 시스템 붕괴로 많은 사람들이 병상을 기다리다가 사망했고 중환자실을 코로나19 환자에게 내주면서 암·심뇌혈관 등을 앓는 환자들의 병상이 부족해지기도 했다. ‘병상 대란’을 반복하지 않으려면 일선 병원들에 대한 보상책을 제도화해 참여율을 높이고 최전방 저지선인 공공의료를 강화해야 한다. 김병근 평택 박애병원장은 “코로나19 환자 치료를 위해 병상을 내놓은 병원들에 대한 보상을 약속한대로 해야 다음 위기가 왔을 때도 민간 병원들이 정부의 요청에 따를 수 있다”며 “권역별 감염병 센터, 중앙 감염병 센터 구축을 완료하고 2년 반 동안 경험했던 것들을 통해 의료 대응 전략을 시스템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정권이 바뀐다고 해서 이전 정부 책임자들을 징계하는 방식은 곤란하다”며 “유행 상황에서 지휘 권한을 갖고 전문적인 판단을 할 수 있는 독립된 기구(컨트롤 타워)가 있어야 또 다른 팬데믹이 와도 위기에서 빠르게 벗어날 수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