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신풍제약
- 포스코케미칼
- 레고켐바이오
- ChatGPT
- 레인보우로보틱스
- GC녹십자
- 유한양행
- LG에너지솔루션
- 오늘의글
- 한미약품
- 챗GPT
- 특징주
- 일동제약
- 셀트리온
- 대웅제약
- 오늘의명언
- SK하이닉스
- KT
- 위메이드
- HK이노엔
- 삼성전자
- 현대차
- SK바이오사이언스
- 에스디바이오센서
- 관심주
- 윤석열
- 이재명
- 현대로템
- 에이프로젠
- 삼성sdi
- Today
- Total
목록기업 (214)
핫토픽 톱뉴스
[ 강경민 기자 ] 국내 질산(HNO3) 시장의 ‘절대 강자’인 TKG휴켐스(옛 휴켐스)가 반도체 슈퍼사이클에 힘입어 공격적인 증설에 나섰다. 질산은 반도체 세정제와 산업용 화약, 폴리우레탄 원료가 되는 기초 소재다. 반도체 슈퍼사이클과 맞물려 수요 급증에 따른 품귀 현상을 빚으면서 가격도 1년 전 대비 네 배 이상으로 치솟았다. ○국내 질산 사실상 전량 공급26일 화학업계에 따르면 TKG그룹의 정밀화학 계열사인 TKG휴켐스는 지난 24일전남 여수산업단지에서 연 40만t 규모의 질산6공장 착공식을 열었다. 2500억원을 투자한 질산6공장은 내년 하반기부터 상업 가동에 들어갈 계획이다. 이번 증설을 통해 질산 생산능력은 연간 110만t에서 150만t으로, 아시아 최대 규모로확대된다. TKG휴켐스는 2006..

최근 신기업가정신을 선포한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곧바로 국내 투자 챙기기에 나섰다. 최 회장은 지난 24일 선포식 이후 이틀 만인 26일 배터리(Battery)·바이오(Bio)·반도체(Chip)를 뜻하는 BBC 등 미래 핵심 산업에 향후 5년간 247조원에 달하는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겠다고 밝혔다. 전체 투자액 가운데 국내 투자 규모는 179조원이다. 최근 북미 투자를 강화하는 SK가 해외 못지않게 국내 투자도 챙기겠다는 의지를 확실히 보여준 것이다. 투자 분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반도체 142조2000억원 △전기차 배터리 등 친환경 사업 67조4000억원 △디지털 24조9000억원 △바이오 12조7000억원 등이다. 전체 투자 금액 중 90%가 BBC 산업에 집중됐으며, 특히 4차 산업의 핵심이자..

[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 배터리 3사의 북미지역 출사표가 완성됐다. 완성차업체와 합종연횡하면서 독자 진출까지 속도를 높이고 있다.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인 북미지역을 선점해 중국, 일본업체와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삼성SDI는 24일(현지시간) 미국 인디애나주 코코모시에서 세계 4위 자동차업체 스텔란티스와 미국 인디애나주 정부와 전기차 배터리 셀·모듈 합작법인 설립계약을 체결했다. 체결식에는 에릭 홀콤 인디애나주 주지사, 브래들리 체임버스 인디애나주 상무장관, 타일러 무어 코코모 시장 등 정부 관계자, 최윤호 삼성SDI 대표와 마크 스튜어트 스텔란티스 북미 COO(최고업무책임자) 등이 참석했다. 양사는 코코모시에서 올해말 공장 착공을 시작해 2025년 1분기부터 배터리 양산을 시작할 ..
삼성전자 파운드리 디자인하우스 협력사 ‘디자인솔루션파트너(DSP)’ 중 하나인 에이디테크놀로지가 5나노 설계 플랫폼을 선보인 건 처음이다. 국내외 중소·중견 반도체 팹리스가 손쉽게 삼성전자 파운드리에 접근, 5나노 공정 기반 반도체 설계 생태계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에이디테크놀로지는 5나노 공정 기술을 기반에 둔 반도체 설계 플랫폼 ‘ADP500’을 25일 공개했다. ARM 코어텍스-A53을 기반으로 반도체 팹리스가 최첨단 차량용 반도체, 인공지능(AI), 에지컴퓨팅,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등 주문형 반도체(ASIC)를 설계하도록 지원한다. 팹리스가 필요한 반도체 설계자산(IP)을 다수 포함, 개발 기간을 단축하고 설계 비용을 줄일 수 있다. ADP500 플랫폼의 코어텍스-A53 쿼드..
반도체 이어 바이오까지 '제2의 반도체 신화'…승부수 띄운 삼성 반도체·바이오·신성장 IT 등에 향후 5년간 450조원 투자 계획 "시스템반도체·파운드리 선두로 나서면 또 하나의 삼성전자 효과" (서울=연합뉴스) 김기훈 기자 = 삼성이 향후 5년간 450조원의 대규모 투자 계획을 공개하며 '미래 먹거리' 육성을 위한 승부수를 띄웠다. 반도체, 바이오, 신성장 IT 등 신사업을 중심으로 450조원을 중점 투자해 '반도체 초강대국' 달성을 주도하고 바이오 분야에서도 '제2의 반도체 신화'를 구현하겠다는 구상이다. 또 인공지능(AI)·차세대 통신 등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의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IT 기술 개발에도 가속페달을 밟을 예정이다. ◇ 팹리스 시스템반도체·파운드리 중점투자…메모리는 초격차 유지 24..

- 경영권 바뀌는 과정에서 발생한 사안 - 재무적투자자와 이전 최대주주 연관돼 - 금감원 증권신고서 6차례나 정정요구 - 합병 후 지배구조 단순화, 경영 효율↑ [이데일리 김유림 기자] 에이프로젠 MED(007460)가 금융감독원 조사를 받아온 것으로 확인됐다. 최대주주의 주식 변동과 신주인수권부사채 발행 과정에서 금감원 신고를 누락한 사실이 적발됐다. 향후 증권선물위원회에 출석할 예정이며, 비상장사 에이프로젠과 합병 절차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집중된다. ㄴㄴ에이프로젠은 지난해 9월 말부터 합병 절차를 밟고 있다. 하지만 금감원 측에서 에이프로젠 MED의 합병 증권신고서 정정요구를 6차례나 하면서 반년 넘게 합병이 마무리되지 못하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증권신고서는 투자자 보호의 목적이다. 회..
[서울경제TV=최민정기자] 글로벌 커넥티드카 플랫폼 서비스 전문 기업 오비고(352910)가 10일 한국자동차연구원(한자연)이 총괄하는 "자동차산업기술개발-스마트카" 관련 사업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오비고는 한국자동차연구원이 총괄하는 가변형 디스플레이 및 친환경 소재적용 자율주행 칵핏 모듈 기술 개발 과제에 ㈜유투시스템, ㈜큐디에이시스템, 국민대학교산학엽력단,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과 함께 개발을 수행한다. 해당 과제는 총 사업비 86억원 규모의 스마트카 분야 핵심 과제 중 하나로 45개월동안 진행되며, 자율주행차의 글로벌 보급이 본격화 되는 시점인 2025년말까지 기술개발이 완료될 예정이다. KPMG에 따르면 2020년 71억 달러 규모였던 세계 자율주행 시장은 2035년 1조 1,204억 달러로 연평균..

[아시아경제 이민지 기자]한국투자증권은 24일 에스에프에이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5만9000원을 유지했다. 1분기 에스에프에이의 연결 매출액은 4109억원, 영업이익 505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 19% 성장하며 시장 예상치를 소폭 웃돌았다. 수주잔고는 1분기 말 기준으로 7449억원으로 지난해 2019년 4분기 이후 최고치다. 2분기에는 국내외 2차전지 업체와 국내 물류센터, 중국 디스플레이 발 수주로 분기 말 수주잔고는 1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된다. 1조원에 달하는 수주잔고는 2017년 1분기 이후 5년여 만이다. 김정환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고객사인 SK온과 유럽 2차전지 업체의 투자가 최소 2025년까지 지속 증가하며 5년 이상 준비한 스마트 물류 장비를 대규모로 수..

사적 모임 제한과 영업시간 규제가 해제되면서 2년여 동안의 사회적 거리두기가 마침표를 찍었다. 일상 회복, 여행 재개에 대한 기대감과 더불어 극장가에도 훈풍이 불 것으로 예상된다. 코로나19 여파로 제작된 많은 영화가 개봉을 수년째 미뤄왔다. 일부 영화는 고육지책으로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공개를 선택했다. 올해는 그동안 미뤄온 영화들이 줄줄이 개봉 예정이다. 25일부터는 상영관 내 식사까지 허용되면서, 업계는 관객들로 붐비는 활기찬 영화관의 모습을 기대하고 있다. 아시아경제는 극장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관련주 쇼박스와 NEW를 분석했다. [아시아경제 박소연 기자] 쇼박스는 영화 ‘괴물’, ‘암살’, ‘택시운전사’ 등을 배급한 영화투자·배급사다. 드라마 ‘이태원 클라쓰’ 등을 제작해 주목받았다..

- 1999년 창업, '순간 고출력 에너지' 슈퍼커패시터 주력 - 10년 이상 R&D 거쳐 미국 태양열발전소 첫 대량 납품 - 슈퍼커패시터 적용 자동차·서버·가전 등 꾸준히 확대 - 특히 벤츠 자동차 에어백에 슈퍼커패시터 100% 공급 - 여기에 수소연료전지 추가 "글로벌 친환경에너지 도약" 성도경 비나텍 대표 (제공=비나텍) [전주(전북)=이데일리 강경래 기자] “슈퍼커패시터와 수소연료전지를 앞세워 2030년까지 매출 1조원 회사로 키울 계획입니다.” 13일 전주친환경복합단지에 위치한 비나텍(126340)에서 만난 이 회사 성도경 대표는 “친환경 에너지저장장치인 슈퍼커패시터가 스마트미터기, 태양열발전소 등에 이어 자동차와 가전 등으로 적용 범위가 확대하면서 시장이 빠르게 커진다”며 “여기에 수소연료전지..

우크라 총리 “국가 재건 비용 744조원…‘마셜플랜’ 필요” ■ [단독] 혜인 + 수산중공업 = 광림 (압도적) 우크라이나 현지 판매점 2곳 보유중! ■ [단독] 우크라이나 현지 판매점 2곳 보유중 + 재건 필수 장비 ( 도저, 너클크레인, 활선차 ) 보유중 ■ [단독] 우크라이나 현지 판매점 2곳 보유중 + 재건 필수 장비 ( 도저, 너클크레인, 활선차 ) 보유중 ※ 우크라이나 전지역 - 건물 파괴, 건물 붕괴, 통신선 파괴 ......모두 광림 특장차와 연결중! ■ [단독] 우크라이나 건물 + 통신 + 도로 + 매립 + 철골 = 광림 제품 / 우크라이나 현지 판매점 2곳 보유중! ■ [단독] 우크라이나 현지 판매점 2곳 보유중 + 재건 필수 장비 ( 도저, 너클크레인, 활선차 ) 보유중 ※ 우크라이나..

- 경영권 바뀌는 과정에서 발생한 사안 - 재무적투자자와 이전 최대주주 연관돼 - 금감원 증권신고서 6차례나 정정요구 - 합병 후 지배구조 단순화, 경영 효율↑ [이데일리 김유림 기자] 에이프로젠 MED(007460)가 금융감독원 조사를 받아온 것으로 확인됐다. 최대주주의 주식 변동과 신주인수권부사채 발행 과정에서 금감원 신고를 누락한 사실이 적발됐다. 향후 증권선물위원회에 출석할 예정이며, 비상장사 에이프로젠과 합병 절차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집중된다. 2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에이프로젠 MED(007460)와 에이프로젠은 지난해 9월 말부터 합병 절차를 밟고 있다. 하지만 금감원 측에서 에이프로젠 MED의 합병 증권신고서 정정요구를 6차례나 하면서 반년 넘게 합병이 마무리되지 ..

양도가액 1050억원 총 11개 자회사 포함 한글과컴퓨터(030520)(한컴)가 한컴MDS를 플레이그램에 매각한다. 한컴MDS의 최대주주인 한컴은, 한컴MDS를 비롯한 한컴인텔리전스, 한컴로보틱스, 한컴모빌리티, 한컴텔라딘, 스탠스 등 총 11개 자회사를 포함한 주식 및 경영권 양수도 계약을 플레이그램과 체결했다고 20일 공시했다. 양도가액은 1050억원으로 최종 양도 금액은 실사와 협상을 통해 확정될 예정이다. 지난 3월 진행된 한컴MDS 매각 예비 입찰에서 10여개 기업이 인수제안서를 제출하며 인수 경쟁이 이뤄진 끝에, 한컴은 플레이그램을 최종 인수 후보로 선정함으로써 지난 2015년 스틱인베스트먼트로부터 보유 지분과 경영권을 인수한 지 7년 만에 한컴MDS를 매각하게 되었다. 플레이그램은 빗썸코리아..
(서울=연합인포맥스) 홍경표 기자 = 채권단 관리를 졸업하고 이름을 바꿔 새출발한 두산에너빌리티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불황의 터널을 벗어나 턴어라운드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기존의 화력 중심 사업에서 수소와 풍력, 소형모듈원전(SMR) 등 친환경 에너지 사업 포트폴리오로 전환해 제2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두산에너빌리티의 1분기 매출은 3조71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9.75% 증가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제주한림풍력 기자재 공급 및 장기유지 보수계약 등으로 1분기 수주도 약 1조1천억원 늘었다. 두산에너빌리티 영업이 점차 정상화되고, 원가 개선 노력과 유상증자 등으로 지속적으로 현금을 확보하면서 재무 지표도 개선되고 있다. 두산에너빌리티의 ..

코스피 지수 떨어지는 동안 통신 3사 주가 '선방' 높은 배당 성향 유지···1분기 우수한 실적 기록 “구조적 성장에 따른 호실적 전망···꾸준히 비중 확대” 고배당주로 꼽히는 SK텔레콤(017670)과 KT가 1분기 ‘깜짝 실적’까지 내면서 증시 부진 속 든든한 방어주로 주목받고 있다. 증권가 역시 통신주의 구조적 성장세를 관측하며 목표주가를 올려잡는 모습이다. 1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SK텔레콤과 KT의 주가는 이달 들어 각각 7.02%, 4.89% 올랐다. 같은 기간 코스피 지수가 3.37% 떨어진 것을 감안하면 눈에 띄는 상승세다. LG유플러스(032640) 주가도 2.15% 떨어지는 데 그치면서 선방했다. 통신주의 최근 상승세는 1분기 깜짝 실적에 기대고 있다는 분석이다. 앞서 SK텔레콤은 1..

.title{font-size:13px;color:#203c76;font-weight:bold;margin-bottom:20px;}a,img {border:0; outline:none; selector-dummy:expression(this.hideFocus=true);}body,td,select,input,div,form,textarea,center,option,pre,blockquote {font-size:9pt; line-height:1.6; font-family:돋움;}table{width:100%; border:0px;}.ad {text-align:center; font-size:8pt; font-family:돋움;line-height:1.2} 제목 : Korea Aerospace Industr..

[머니S 이지운 기자] 삼성전자가 로봇 사업 부문 인력을 대폭 늘리며 공격적인 인재 수혈에 나선다는 소식에 로보티즈의 주가가 상승세다. 17일 오전 10시44분 현재 로보티즈는 전거래일대비 700원(3.56%) 오른 2만35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아시아경제 보도에 따르면 삼성전자 로봇사업팀은 인력을 현재(130여명) 대비 연말까지 2배 이상 더 늘리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내부 사정에 정통한 관계자는 "신생 조직이다 보니 인력이 부족한 게 현실"이라며 "인력을 현재 대비 연말까지 2배로 대폭 늘릴 계획"이라고 전했다. 삼성전자 로봇사업팀이 공격적인 인재 확보에 나선 것은 지난해 말 조직개편을 통해 로봇 사업화 태스크포스(TF)에서 정식 부서로 격상됐지만, 인력 규모가 여전히 TF 수준에 머무르고 있..

현대차, 매달 일정 비용 내면 한도 내 충전 요금 할인 구독료 포함 연 최대 약 186만 원 할인 혜택 기대 한화큐셀, 충전 금액 3% 적립 마일리지 서비스 제공 예정 현대자동차가 자사 전기차 고객을 대상으로 구독형 전기차 충전요금제 상품 ‘럭키패스 H’를 출시했다. 16일 현대차(005380)에 따르면 ‘럭키패스 H’는 고객이 매달 일정 비용을 내면 약정한 충전량 한도 내에서 충전 요금을 할인받을 수 있는 상품이다. 고객은 구독료와 약정량에 따라 ‘럭키패스 H Green +’(월 구독료 3만 원, 월 약정량 1200kwh), ‘럭키패스 H Light +’(월 구독료 1만5000원, 월 약정량 400kwh)등 두 가지 요금제를 선택할 수 있다. 주행거리 기준으로 ‘럭키패스 H Green +’ 이용 시 연..

[머니S 김창성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 경기 화성에 전기 목적기반차량(PBV) 전용공장을 짓는다. 현대차그룹은 이를 통해 관련 시장에서 글로벌 1위에 오른다는 계획이다. 18일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기아 오토랜드 화성에 신설될 국내 최초 신개념 PBV 전기차 전용공장은 'EV 트랜스포메이션'(EV Transformation)을 상징하는 대표적 미래 자동차 혁신 거점이다. PBV 전기차 전용공장은 약 6만6115m² 부지에 수천억원 규모를 투입해 2023년 상반기 착공, 2025년 하반기 양산을 목표로 한다. 양산 시점에 연간 10만대 생산 능력을 확보하며 앞으로 시장 상황에 맞춰 최대 15만대까지 확장할 계획이다. 송호성 기아 사장은 PBV 전기차 전용공장에 대해 "글로벌 PBV 시장 1위 브랜드에 도전하..

삼성전자가 로봇 사업 부문 인력을 대폭 늘린다. 첫 상용화 제품인 ‘젬스’ 출시를 앞두고 공격적인 인재 수혈에 나선 것으로 분석된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낙점한 핵심 미래사업의 한 축인 로봇을 미래먹거리로 본격 추진하겠다는 의도로도 읽힌다. 18일 아시아경제 취재 결과 삼성전자 로봇사업팀은 인력을 현재(130여명) 대비 연말까지 2배 이상 더 늘리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내부 사정에 정통한 관계자는 "신생 조직이다 보니 인력이 부족한 게 현실"이라며 "인력을 현재 대비 연말까지 2배로 대폭 늘릴 계획"이라고 전했다. 삼성전자 로봇사업팀이 공격적인 인재 확보에 나선 것은 지난해 말 조직개편을 통해 로봇 사업화 태스크포스(TF)에서 정식 부서로 격상됐지만, 인력 규모가 여전히 TF 수준에 머무르고 있어..

[헤럴드경제=이호 기자] 유진로봇과 LG전자, KT, 현대로보틱스 등 국내 기업 18곳이 참여하는 ‘자율주행로봇 얼라이언스’가 출범했다는 소식에 유진로봇 주가가 강세다. 1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유진로봇은 오후 2시 3분 전일 대비 310원(4.87%) 상승한 6680원에 거래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날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자율주행로봇 얼라이언스 발대식에 참석해 참여 기업들과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자율주행로봇 얼라이언스는 민간이 자발적으로 뜻을 모아 자율주행로봇 사업화 지원을 목적으로 결성됐다. 얼라이언스에는 LG전자, KT, 현대로보틱스를 비롯해 만도, 유진로봇, 우아한형제들 등 기업 18곳이 참여한다. 실내주행, 실외주행, 기술협력, 사업협력 등 4개 분과로 운영되며 한..

[머니투데이 오정은 기자] '내셔널지오그래픽 어패럴'로 유명한 코스닥 상장사 더네이쳐홀딩스가 글로벌 브랜드 포트폴리오 강화를 위해 래시가드 1위 기업 '배럴'을 전격 인수한다. 라이프 스타일 전문기업 더네이쳐홀딩스(대표 박영준)는 16일 배럴 지분 47.7%를 640억원에, 그밖에 전환사채 일부 120억원 등을 총 760억원에 취득한다고 공시했다. 더네이쳐홀딩스는 배럴 경영권을 확보하고 최대주주로 올라섰다. 취득일자는 2022년 7월 15일이다. 배럴은 2010년 설립된 애슬레저 웨어 전문 기업으로 주력 상품인 워터스포츠웨어 부문에서 국내 최상위권 시장점유율을 나타내고 있다. 2018년 중국 현지 법인을 설립한 이래 심천, 광저우 등 중국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매장을 확대하고 있으며 홍콩과 태국 등 주요..

긴축 본격화로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 시중에 풀렸던 막대한 자금이 회수되기 시작하면서 시가총액 10조원 이상 우량주 목록에도 지각변동이 일어나고 있다. 유동성 장세 수혜를 입었던 'BBIG(배터리·바이오·인터넷·게임)' 종목이 대거 탈락하고 철강, 조선, 금융 등 전통 산업에 속한 회사들이 '시총 10조 클럽'에 새로 이름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3일 종가를 기준으로 시총이 10조원을 넘은 상장사(코스피·코스닥)는 39곳으로, 연초(41곳)와 비교해 2곳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0조 클럽에 속한 회사의 평균 시총 역시 33조1998억원으로 연초(35조1054억원) 대비 5.4% 감소했다. 구성 종목에서도 변화가 감지된다. 성장주의 대표 격인 BBIG주들이 대거 고..

[시사저널e=이호길 기자] 반도체 패키지 기판 품귀 현상으로 인쇄회로기판(PCB) 업체들이 증설 투자에 나선 가운데 메모리 기판 경쟁도 뜨겁다. 중앙처리장치(CPU)와 그래픽처리장치(GPU) 등에 활용되는 시스템반도체용 패키지 기판인 플립칩(FC)-볼그리드어레이(BGA)뿐만 아니라 D램 메모리 모듈용 기판 투자도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메모리용 기판시장은 차세대 D램인 DDR5 보급이 하반기부터 확대되면서 공급부족 현상이 더 심화될 수 있단 전망이다. 16일 전자업계에 따르면 해성디에스, 티엘비, 심텍 등은 메모리 반도체 기판 생산공장 증설에 나섰다. DDR5 도입으로 본격화되는 D램 세대교체 수혜를 노리겠단 전략이다. DDR5는 이전 세대인 DDR4보다 속도가 2배 이상 빠른 제품으로 가격도 30% ..

2030년 100조원 규모 전망 차량 애프터마켓 아이트로닉스 등 국내 중소기업 활약 이어가 최근 몇 년 새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자동차 수요와 맞물려 제품 판매 이후의 서비스를 포괄하는 후속 시장(애프터마켓)의 성장세가 눈에 띄고 있다. 실제 글로벌 컨설팅 회사 맥킨지에 따르면 국내 자동차 애프터마켓의 시장 규모는 오는 2030년까지 약 100조원 규모로 성장하며 활황을 이어갈 전망이다. 사업 영역도 기존의 수리·정비 중심에서 차량 관리 전반으로 확장되는 추세다. 2일 업계에 따르면 특히 국내 애프터마켓에서는 '세계 최초’ 기술로 시장을 선도하는 중소기업들의 활약이 두드러지고 있다. 차량 에어컨 건조 기능을 제품화해 입지를 선점한 아이트로닉스의 애프터블로우부터 자가 복원 기능을 강화한 차량 유리 보호필름,..

[머니S 권가림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 내년 중고차시장 진출을 앞두고 사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전략을 철저히 점검할 계획이다. 롯데렌탈을 운영하는 롯데그룹과 SK렌터카를 운영하는 SK그룹은 온라인 플랫폼 구축 등 차별화된 서비스를 갖추는데 공을 들이고 있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기아는 내년 5월 중고차 시장에 진출할 수 있다. 인증 중고차 시범 판매는 내년 1월부터 4월까지 각각 5000대 내에서 허용된다. 현대차그룹은 사업 전략을 철저히 검토해 내년 시장 진출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회사는 중고차 관련 사업 조직을 중심으로 중고차 시장에 퍼져있는 부정적인 이미지를 씻어내고 품질을 끌어올릴 방침이다. 현대차그룹은 정밀진단과 인증검사를 진행하는 '인증 중고차 전용 하이테크 센터' 구축에 나선다. 성..

[머니투데이 한지연 기자] LG전자가 세계 최소 올레드(OLED, 유기발광다이오드) TV인 42형(화면 대각선 약 106cm) 올레드 에보(OLED evo, 모델명: 42C2)를 국내 출시한다. LG전자는 지난달 영국에서 먼저 예약판매를 진행했다. LG전자가 오는 20일부터 7일간 네이버 쇼핑이 진행하는 신상 위크행사에서 42형 LG올레드에보를 판매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달 말부터는 LG전자 온라인브랜드샵 등 다양한 온라인 채널에서도 본격 판매한다. 신제품은 책상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기 적합한 42형 크기로, 게이밍 용도 또는 세컨드 TV로 용이하다. 4K(3840x2160) 해상도를 구현했고, 화소 밀도는 80형대 화면 크기의 8K(7680x4320) TV에 버금가는 수준이다. 또 LG 올레드 에보 ..

휴맥스모빌리티가 전기차 충전인프라 사업 확대에 적극 나섰다. 휴맥스모빌리티(대표이사 김태훈)는 전기차 충전기 개발 및 운영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휴맥스EV'를 통해, '제주전기자동차서비스'(브랜드명 joyEV, 대표 이규제)의 경영권을 확보했다고 6일 밝혔다. 제주전기자동차서비스는 2012년 8월에 포스코ICT, 중앙제어, 피엠그로우 등이 참여하여, 탄소제로섬 제주에서 국내 1호 민간충전서비스를 시작한 회사다. 현재 급속충전기 350기, 완속충전기 2,000여기를 확보하고 있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원격관제충전서비스, 긴급출동, 사용자 멤버십서비스, 24 콜센터를 운영한, 전기차충전서비스 및 신재생에너지에 특화된 회사다. 제주가 '카본프리아일랜드'. '신재생 전기차의 섬'으로 안착하는데 많은 역할을 하였다..
제목 : 한국비엔씨, 코로나19 치료제 FDA 긴급사용신청 이달 제출 여부 관심 쏠려 개발사인 대만의 골든바이오텍, 안트로퀴노놀 당초 4월중 제출 예상 (서울=NSP통신) 박정섭 기자 = 코스닥 상장사인 한국비엔씨(256840)가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로 개발중인 안트로퀴노놀이 이번달 FDA긴급사용 승인신청이 이뤄질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국비엔씨측은 당초 안트로퀴노놀 개발사인 대만의 골든 바이오텍이 이번달 긴급사용승인을 FDA에 제출할 것으로 예상을 했기 때문이다. 골든바이오텍은 안트로퀴노놀의 임상2상 결과의 예비 분석 데이터를 1월5일 발표한 이후 추가 데이터를 입수해 분석해왔다, 코로나19치료 경구용 항바이러스제인 화이자의 팍스로비드의 경우 미국 FDA에 긴급사용승인 신청후 36일만에 긴급사용승..

[아시아경제 이관주 기자] 일동홀딩스의 건강기능식품 사업 계열사 일동바이오사이언스는 자사의 프로바이오틱스 원료에 대해 미국에서 ‘자체 검증 GRAS’를 취득했다고 6일 밝혔다. 자체 검증 GRAS(Self-Affirmed Generally Recognized As Safe)는 미국 시장에 진입하는 신규 식품원료의 안전성 등을 확인하는 제도로, 독성 및 위험 평가 전문위원들의 검증을 거쳐 적합 여부를 판정한다. 이번에 자체 검증 GRAS를 취득한 일동바이오사이언스의 원료는 락토바실러스 속 4종, 비피도박테리움 속 2종, 바실러스 속 1종 등 총 7종이다. 일동바이오사이언스는 기존에 보유한 12종에 더해 총 19종의 미국 자체검증 GRAS 원료를 확보하게 됐다. 특히 대표적인 유익균인 락토바실러스 균속과 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