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HK이노엔
- SK바이오사이언스
- 유한양행
- 현대로템
- 레고켐바이오
- 오늘의명언
- 삼성sdi
- SK하이닉스
- 일동제약
- 챗GPT
- 에스디바이오센서
- ChatGPT
- 오늘의글
- 셀트리온
- 윤석열
- 삼성전자
- 레인보우로보틱스
- 대웅제약
- 신풍제약
- 관심주
- 특징주
- 포스코케미칼
- 위메이드
- LG에너지솔루션
- KT
- 이재명
- 현대차
- GC녹십자
- 에이프로젠
- 한미약품
- Today
- Total
핫토픽 톱뉴스
취향과 사실의 차이 본문
취향과 사실의 차이
어느 학교의 교실,
선생님은 사탕이 가득 담긴 그릇을 보여주며
이 그릇에 사탕이 몇 개 있을지
아이들에게 물었습니다.
아이들은 145개, 152개, 177개 등
각자 추측되는 숫자를 말했습니다.
아이들의 대답을 듣고는
선생님이 답했습니다.
“이 그릇에는 157개의 사탕이 들어 있어요.
누구의 답이 정답에 가장 가까운가요?”
아이들은 근사치를 말한 아이를 가리켰습니다.
선생님은 이어서 또 다른 질문으로
가장 좋아하는 노래가 무엇인지
물어보았습니다.
이 질문의 대답도 역시 아이들마다 달랐고
선생님은 아이들이 말하는 노래 제목들을
칠판에 받아 적었습니다.
사탕 숫자만큼이나 다양한 노래 제목들이
빼곡히 적힌 칠판을 보며 선생님은
다시 물었습니다.
“이 노래 중 우리가 좋아하는
노래는 뭔가요?”
그러자 아이들은 하나로 정할 수 없다며
말도 안 된다고 투덜거렸고 선생님은 아이들을
진정시킨 뒤 말했습니다.
“여러분 말이 다 맞아요.
사탕 숫자는 개인의 ‘취향’이 아닌 ‘사실’이지만
좋아하는 노래는 개인의 ‘취향’입니다.”
1980년대, 기성복이 등장하면서 양장점이 퇴조했지만,
‘오트쿠튀르’라는 고급 맞춤복의 예술적 가치는
인정받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 가전 및 전자제품 시장에서는
맞춤 생산을 의미하는 ‘비스포크(Bespoke)’가 트렌드입니다.
냉장고, 스마트폰 등의 디자인도 개인의 취향에 맞춰서
구매하는 시대가 온 것입니다.
‘오트쿠튀르’와 ‘비스포크’.
취향을 반영한 디자인에는 정답이 없듯이
지금도 변하고 있는 각자의 개성은
존중받을 가치가 있습니다.
# 오늘의 명언
예술은 손으로 만든 작품이 아니라
예술가가 경험한 감정의 전달이다.
– 톨스토이 –
'오늘의 알권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머스 브래들리 (0) | 2023.03.15 |
---|---|
최우선변제 대상 보증금 (0) | 2023.03.15 |
인생이라는 모래시계 (0) | 2023.03.15 |
부자와 당나귀 (1) | 2023.03.15 |
132cm의 작은 거인 (0) | 2023.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