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셀트리온
- 일동제약
- 이재명
- GC녹십자
- ChatGPT
- 삼성전자
- 유한양행
- SK하이닉스
- 포스코케미칼
- 오늘의명언
- 위메이드
- 관심주
- 한미약품
- 챗GPT
- 현대차
- 대웅제약
- 신풍제약
- 에이프로젠
- 레고켐바이오
- 레인보우로보틱스
- 에스디바이오센서
- 윤석열
- 특징주
- 현대로템
- 오늘의글
- SK바이오사이언스
- KT
- 삼성sdi
- LG에너지솔루션
- HK이노엔
- Today
- Total
핫토픽 톱뉴스
코로나 치료제는 "항바이러스제"와 "면역조절제"로 나뉜다 본문
사회적 거리 두기와 실외 마스크 착용이 해제되면서 일상이 빠르게 예전 모습을 회복하고 있다. 최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도 2만~3만명대를 유지하고 있고 코로나19 감염병 등급이 2급으로 하향 조정되는 등 엔데믹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코로나 안착기 전환은 늦춰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유행은 감소세에 접어들었지만 신종 변이 유입 등 재유행의 불씨가 남아 있어 시기상조라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현재 오미크론 변이처럼 전파력이 강한 코로나 바이러스가 우세종이 되면 재유행도 안심할 수 없다. 국내에서도 최근 남아공발 코로나 재유행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오미크론 하위 변이 BA4 변이 1건과 BA5 변이 2건이 처음 확인됐다. 코로나 역시 독감과 같은 양상으로 진행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치료제의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
코로나 치료제는 "항바이러스제"와 "면역조절제"로 나뉜다.
항바이러스제는 코로나 감염 초기에 체내 바이러스 증식과 복제를 막아 중증화를 막는 1차 방어선 역할을 한다. 만약 병이 중증 이상으로 진행됐다면 면역조절제로 폐에 생긴 염증 반응을 줄여 2차 피해를 최소화한다. 긴급사용승인을 포함해 현재 국내에서 허가받은 치료제 5개 중 4개(렘데시비르, 렉키로나, 팍스로비드, 라게브리오)가 항바이러스제다. 면역조절제는 아니지만 이와 비슷한 기전인 류머티즘 관절염치료제 악템라도 처방되고 있다.
국내 기업들도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에 한창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등록된 코로나19 치료제 임상승인 품목은 19개로 이 중 항바이러스제가 12개, 면역조절제가 7개다. 항바이러스제 중에서는 현대바이오사이언스와 일동제약이 올해 긴급사용승인 신청에 도전한다.
현대바이오사이언스는 구충제 성분 니클로사마이드를 사용해 경구용 치료제를 개발 중이다. 니클로사마이드는 세계보건기구(WHO)가 지정한 필수의약품 중 하나다. 2020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가 3대 치료물질 후보군으로 니클로사마이드를 선정했고, 과학저널 네이처는 코로나 감염으로 인한 폐 손상을 차단할 약물로 니클로사마이드를 꼽았다.
니클로사마이드는 바이러스가 세포에 침투하면 스스로 제거하는 자가포식 작용으로 바이러스 증식을 억제하고 제거한다. 숙주 세포를 표적하기 때문에 바이러스 변이와 상관없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럼에도 경구제로 복용 시 체내흡수율이 낮고 혈중농도를 유지하는 시간도 짧아 약물 재창출이 될 수 없었다. 그러나 현대바이오사이언스는 무기물 약물전달체 기술로 생체이용률을 최대 40배까지 높여 난용성을 극복했다. 최근에는 임상 2상인 곳 중 유일하게 국가임상시험지원 재단 지원 과제에 선정되기도 했다.
일동제약은 일본 시오노기제약의 경구용 코로나 치료제 후보물질 S-217622를 공동 개발하고 있다. 코로나 바이러스에 존재하는 단백질 분해효소를 억제해 바이러스 증식을 막아주는 원리로 현재 임상 2b/3상을 진행 중이다. 면역조절제 중에서는 샤페론의 누세핀 개발 속도가 가장 빠르다. 누세핀은 G단백질 결합 수용체를 조절해 염증복합체를 억제하는 방식이다. 현재 코로나 폐렴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2b/3상을 준비 중이다.
송경호 분당서울대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코로나19 치료제 역시 지금보다 더 많아져야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바이오제약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엘, 세계 최초 자궁경부전암 치료제 개발에 속도 (0) | 2022.05.27 |
---|---|
케어젠, “디글루스테롤의 FDA NDI 등록은 합성 펩타이드로서는 최초 (0) | 2022.05.27 |
제약 업계, 동물의약품을 차세대 먹거리 본격적인 경쟁 (0) | 2022.05.25 |
"셀트리온 3형제"가 줄줄이 급등세 (0) | 2022.05.25 |
원숭이두창이 전 세계적으로 이례적인 유행세- 백신·치료제 관련 제약바이오 업체들 (0) | 2022.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