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에이프로젠
- SK바이오사이언스
- 신풍제약
- 오늘의명언
- SK하이닉스
- 레고켐바이오
- HK이노엔
- 포스코케미칼
- 관심주
- 일동제약
- 현대차
- 레인보우로보틱스
- ChatGPT
- 삼성전자
- 특징주
- 대웅제약
- 이재명
- LG에너지솔루션
- 챗GPT
- KT
- 위메이드
- 셀트리온
- 삼성sdi
- 오늘의글
- 유한양행
- 현대로템
- 윤석열
- 한미약품
- GC녹십자
- 에스디바이오센서
- Today
- Total
핫토픽 톱뉴스
[테크토크]챗GPT만 잘 써도 연봉 4억? …화제의 신직업 본문
AI 명령어 다듬는 프롬프트 엔지니어
AI는 '블랙박스'…의사소통 방법 연구
생성 AI 붐 일며 美英서 연봉 '수억원'
인공지능(AI) 챗봇 '챗GPT'와 대화해 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질문'의 중요성을 깨닫게 됩니다. AI에게 얼마나 명확하고 상세한 질문을 던지냐에 따라 답변의 신뢰도, 디테일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AI에게 특정한 결과물을 생성하라고 지시하는 것을 '프롬프트(prompt·명령어)'라고 합니다. 컴퓨터는 우리가 쓴 명령어를 통해 우리의 의도를 이해하고 지시 사항을 수행합니다.
하지만 인간이 언어를 구사하는 방식과 컴퓨터가 이를 이해하는 과정은 매우 다르며, 이 때문에 우리와 AI 사이엔 의사소통 장애가 생기기 마련입니다. 이런 오류를 해결하고 AI가 우리의 지시 의도를 더욱 원활히 파악하게 하는 직업이 바로 프롬프트 엔지니어입니다.
AI와 대화하는 방법 연구하는 IT업계 신직업

생성 AI의 프롬프트는 매우 다양합니다. 챗GPT 홈페이지에서 챗봇과 대화를 나눌 때 우리가 사용하는 채팅창은 그 자체로 이미 프롬프트입니다. 챗GPT가 인기를 끄는 이유 중 하나는 우리가 일상적인 구어체로 명령어를 짜도 AI가 곧잘 이해할 만큼 GPT 계열 모델의 자연어 처리 능력이 탁월하다는 데 있습니다.
텍스트를 이미지로 바꿔주는 '이미지 생성 AI'의 경우 프롬프트는 좀 더 '컴퓨터 언어'다운 모습을 보입니다. 스테이블 디퓨전·달리 등 이미지 AI를 사용할 때, 이용자는 만들고자 하는 이미지를 단어 조합으로 묶어 프롬프트창에 묘사합니다. AI는 이 단어 조합으로 명령을 '이해'하고 이미지를 생성합니다.
하지만 이런 명령 방식으로는 이용자가 정말로 원하는 결과물을 만들기 힘듭니다. 세부 사항을 지시하는 데도 한계가 있습니다. 결국 자신이 원하는 결과물이 나올 때까지 동일한 질문을 계속 던지거나, 혹은 프롬프트를 일일이 수정하며 시행착오를 반복할 수밖에 없죠.
이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들이 '프롬프트 엔지니어'입니다. 이들의 직무는 AI용 명령어를 다듬고, 신경망 AI가 특정한 프롬프트에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정확히 규명하는 겁니다. 쉽게 말해, AI의 의사소통법을 연구하는 사람이자 AI의 심리 분석가라 할 수 있습니다.
아직 인류는 AI 사고방식 이해 못해

이처럼 AI에게 특정한 결과물을 생성하라고 지시하는 것을 '프롬프트(prompt·명령어)'라고 합니다. 컴퓨터는 우리가 쓴 명령어를 통해 우리의 의도를 이해하고 지시 사항을 수행합니다.
하지만 인간이 언어를 구사하는 방식과 컴퓨터가 이를 이해하는 과정은 매우 다르며, 이 때문에 우리와 AI 사이엔 의사소통 장애가 생기기 마련입니다. 이런 오류를 해결하고 AI가 우리의 지시 의도를 더욱 원활히 파악하게 하는 직업이 바로 프롬프트 엔지니어입니다.
한국에서도 프롬프트 엔지니어는 IT 업계의 새 유망 직업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AI로 콘텐츠를 생성해주는 플랫폼을 개발한 '뤼튼테크놀러지스'(뤼튼)는 지난 15일 프롬프트 엔지니어 공개 채용에 나서면서 연봉 최대 1억원을 제안했습니다.
AI 필수 인재일까, 과도기 직업 불과할까
그렇다면 프롬프트 엔지니어를 목표로 경력을 쌓는 건 어떨까요. 아직 프롬프트 엔지니어가 일반적인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처럼 '제도화된' 직업으로 자리 잡을지는 두고 봐야 한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우선 프롬프트 엔지니어라는 개념 자체가 극히 최근에 등장했습니다. 이전에는 AI 기업의 직원들이 직접 명령어를 시험해 가며 기술을 다듬다가, 시장이 넓어지고 수요가 치솟자 이런 작업을 전문적으로 하는 인재를 채용하기 시작한 겁니다.
또 프롬프트 엔지니어의 역할은 단순히 올바른 명령어를 찾는데 그치는 게 아닙니다. 생성 AI의 근간을 이루는 신경망 모델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AI가 왜 특정한 명령어에 반응하는지 규명하는 '컴퓨터 과학자'에 가깝습니다. 이 때문에 유명 기업의 프롬프트 엔지니어들은 이미 AI 업계 내에서 잔뼈가 굵은 베테랑인 경우가 많습니다.
무엇보다도 프롬프트 엔지니어가 AI 산업의 필수 인재인지, 혹은 단순히 과도기 직업에 불과한지를 두고 업계 내에서도 논란이 많습니다. 과거 인터넷 초창기에 검색 포털이라는 개념이 낯설었을 땐 '정보검색사'라는 직업이 인기를 끌었고, 관련 자격증도 만들어졌습니다. 하지만 인터넷이 보편화한 현재는 누구나 기본적인 검색을 할 수 있으므로, 굳이 전문 정보검색사를 등용하는 기업은 드뭅니다.
마찬가지로 생성 AI가 시장에 자리 잡고 나면 명령어 조합은 '누구나 할 수 있는' 기본 소양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오늘날 대부분의 젊은 층이 키오스크와 스마트폰에 익숙한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그때는 프롬프트 엔지니어란 직업도 순식간에 자취를 감출 겁니다.
https://cm.asiae.co.kr/article/2023032316582267475
[테크토크]챗GPT만 잘 써도 연봉 4억? …화제의 신직업
인공지능(AI) 챗봇 '챗GPT'와 대화해 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질문'의 중요성을 깨닫게 됩니다. AI에게 얼마나 명확하고 상세한 질문을 던지냐에 따라 답변의 신뢰도, 디테일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www.asiae.co.kr
'OPEN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왕초보 마스터 (0) | 2024.02.02 |
---|---|
이코노미스트 "챗GPT 등 생성형 AI의 영향력, 과장됐다" (0) | 2023.05.08 |
LG전자 (0) | 2023.04.27 |
스프링캠프, 생성 AI 기업 '스튜디오랩' 초기투자 (0) | 2023.04.26 |
판 깔린 AI 시장 (0) | 2023.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