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SK하이닉스
- 에스디바이오센서
- 셀트리온
- ChatGPT
- 레고켐바이오
- 유한양행
- SK바이오사이언스
- 현대로템
- 현대차
- 신풍제약
- 오늘의명언
- LG에너지솔루션
- 오늘의글
- 레인보우로보틱스
- 포스코케미칼
- 한미약품
- HK이노엔
- 삼성sdi
- 대웅제약
- KT
- 일동제약
- 윤석열
- GC녹십자
- 관심주
- 특징주
- 삼성전자
- 위메이드
- 에이프로젠
- 챗GPT
- 이재명
- Today
- Total
핫토픽 톱뉴스
유가증권시장 대형주들의 외국인 지분율이 종목별로 크게 엇갈려 본문
“현대차가 자율주행 등 미래 모빌리티에 대한 구체적 청사진을 내놓기 전까지는 외국인이 계속 주식을 팔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기아는 외국인 지분율이 35.28%로 1년 전(33%)보다 높아졌다. 금융위기 때는 8%까지 빠졌다. 안정적인 실적이 매력적으로 읽혔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고태봉 하이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전기차를 중심으로 새로운 플레이어가 너무 많이 생기면서 자금을 끌어가고 있다”
외국인이 국내 시장에서 플랫폼주의 성장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지 않다.
네이버의 외국 인 지분율은 55.19%로 코로나19 이전의 60%대보다 낮아졌다.
카카오도 외국인 지분율이 28.15%로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돌아갔다.
시총 상위주 가운데서는 LG전자의 외국인 지분율이 떨어지고 있다. 코로나19 이전에는 33%대였지만 최근 28%대로 내려왔다. 금융위기 당시 바닥은 20%대다. LG전자의 전장사업 등 신사업에 대한 기대가 외국인 수급에 전혀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는 얘기다.
물적분할로 타격을 받은 LG화학은 외국인 지분율이 올랐다. 49.43%로 1년전(44%)보다 높아졌다. LG에너지솔루션의 지분가치 등을 포함한 LG화학의 기업가치가 저평가됐다는 판단이 깔렸기 때문이다.
삼성SDI도 코로나19 이전 외국인 지분율이 20%가 채 되지 않았지만 꾸준히 상승해 30%대에 머물러 있다.
2차전지주가 한국 시장의 주요 성장산업으로 인정받은 영향이다.
무디스, LG화학 신용등급 'A3'로 상향 조정 - 등급전망은 '안정적'…LG에너지솔루션 신용등급도 'A3'로 상향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관련주는 꾸준한 외국인 지분율을 유지하고 있다. 삼성전자의 외국인 지분율은 52.20%다. 52~55% 박스권을 나타내고 있다.
SK하이닉스는 50.65%다.
'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하이닉스, '쩐의 전쟁' 반도체 업계 M&A 성장 전략 여전히 유효 (0) | 2022.02.16 |
---|---|
게임업체들 2021년 수익성 악화 (0) | 2022.02.16 |
저가 매수 개미....주가 추가 급락에 망연자실 (0) | 2022.02.16 |
국내 배터리 3사는 전기차 배터리 공장 신·증설에 투자할 규모는 총 12조원 안팎 (0) | 2022.02.16 |
LG에너지솔루션이 미국 제너럴모터스(GM)와 합작 (0) | 2022.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