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위메이드
- 한미약품
- ChatGPT
- 이재명
- 오늘의글
- 유한양행
- 에이프로젠
- 특징주
- 레인보우로보틱스
- 삼성전자
- 챗GPT
- GC녹십자
- 삼성sdi
- HK이노엔
- 오늘의명언
- SK하이닉스
- 현대차
- 에스디바이오센서
- 신풍제약
- 윤석열
- KT
- 대웅제약
- 셀트리온
- LG에너지솔루션
- 일동제약
- 현대로템
- 포스코케미칼
- 관심주
- SK바이오사이언스
- 레고켐바이오
- Today
- Total
핫토픽 톱뉴스
'급성장 ADC 항암제', 레고캠바이오·지놈앤컴퍼니 등 주목 본문
지놈앤컴퍼니 미생물팀 연구원이 실험을하고 있다. 출처=지놈앤컴퍼니
[이코노믹리뷰=곽예지 기자] 전 세계적으로 항체약물접합제(ADC) 항암제 사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글로벌 제약기업인 얀센과 일라이릴리 등이 ADC 항암제 기술을 도입하면서다.국내제약바이오 업체들도ADC 사업 확대에 적극나서고 있다.
17일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레고켐바이오(141080)와 지놈앤컴퍼니(314130)가 내달 개최 예정인미국암연구학회(AACR)에서 ADC 관련 발표를 진행할 예정이다.
전 세계적으로 ADC 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다. 지난달에는 얀센과 일라이릴리 등 글로벌 대형 제약사들은 ADC 기반 항암제 기술 도입을 위해 32억8,600만달러(약 4조원)를 투자했다. 의약품 시장 조사기업인 코텔리스에 따르면 세계 ADC 시장규모는 지난 2020년 40억달러(약 5조원)에서 2027년까지 190억달러(약 22조원)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레고켐바이오는 국내에서 대표적인 ADC 기술을 보유한 기업이다. 레고켐바이오는 개선된 링커 기술인 콘쥬올(ConjuALL)을 보유하고 있다. 최근 AACR 2022 초록을 통해 자체 ADC 플랫폼 콘쥬올을 적용한 4개파이프라인에 대한 연구성과를 공개했다. 레고켐바이오 자체 파이프라인 1건(Trop2 ADC/LCB84)과 파트너사인 익수다 테라퓨틱스에서 3건의 파이프라인(HER2 ADC/IKS014, CD19 ADC/IKS03, CanAg ADC)에 대한 성과를 발표했다.
Trop2 ADC(LCB84)는 Trop2 양성 삼중음성유방암, 췌장암, 위암, 비소세포폐암 CDX 모델에서의 경쟁 Trop2 ADC인 트로델비, DS-1062와 비교해 우월한 항암효과를 확인했다. 익수다와의 ADC 플랫폼 기술이전 이후 처음 도출된 후보물질에 대한 연구성과가 공개됐으며, CanAg ADC에 대한 대장암, 위암, 췌장암 모델에서의 내약성을 확인했다.
각 파이프라인은 CD19 ADC와 HER2 ADC를 시작으로순차적으로 글로벌 임상 1상에 진입할 예정이다. 익수다에 따르면 CD19 ADC와 HER2 ADC 모두 올해 상반기 중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시험계획(IND) 신청을 거쳐 올 하반기 중 임상에 진입할 예정이다. Trop2 ADC는 하반기 중 IND 신청이 예상된다.
지난 2020년에는 ADC 기술이 적용된 'LCB73'을 포함해 4번의 기술이전 계약을 성사시켰다. 2020년 한 해에만 4건의 기술이전을 통해 성사시킨 계약 규모는 약 1조5,000억원으로 집계된다. 이를 통해 ADC 분야에서 꾸준히 글로벌 인지도를 높였다.
신한금융투자 이동건 애널리스트는 "AACR을 시작으로 연내 HER2 ADC 중국 1a상 결과 발표, 파트너사들의 연이은 글로벌 임상 개시 등 파이프라인 성과는 지속될 전망"이라며 "또 글로벌 빅파마와의 기술이전과 더불어 면역항암제 병용요법 임상 계약 가능성도 존재해 기대된다"고 분석했다.
레고켐바이오 ADC 플랫폼 적용 4개 파이프라인연구성과 리스트. 출처=AACR 2022, 신한금융투자 정리
지놈앤컴퍼니는 최근에는 AACR 홈페이지를 통해 연구성과 3건의 초록을 공개했다. 면역항암 신규 표적 'CNTN-4'를 억제하는 면역항암제 'GENA-104A16'의 비임상 연구 결과, 디바이오팜과 연구개발을 진행중인 ADC 후보물질 'GENA-111-AF'의 연구 결과, 신규 면역항암 표적 'GICP-105'다.
이번 학회서 디바이오팜과 공동 개발 중인 ADC 후보물질 'GENA-111'의 연구 결과를 공개할 예정이다. 지놈앤컴퍼니는 지난해 2월 글로벌 제약사 디바이오팜과 공동 연구개발을 시작했다. 두 기업은 지놈앤컴퍼니의 신약개발 플랫폼을 기반으로 새로운 종양 표적에 대한 여러항체를 발굴한다. 이를 항체를 항원에 전달하는 디바이오팜의 멀티링크 기술에 접목해 ADC 후보물질의 연구개발을 진행해왔다.
현재 ADC 신약 후보물질의 기술수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기술수출이 성공하게 되면 기존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외 다른 분야에서 처음으로 내는 성과다. ADC 기술이 탑재된 후보물질은 현재 전임상(동물시험) 시험을 완료한 상태다. 글로벌 제약회사와 기술수출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놈앤컴퍼니 관계자는 "신규 표적 면역항암제의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며 "향후 글로벌 파트너십 논의도 가속화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바이오제약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3월28일] 제약,병원 및 바이오업계 소식(유비팜,일동제약,대웅제약,차병원 외) (0) | 2022.03.28 |
---|---|
국내 대표 ADC 기술 보유 업체, 차별화된 기술력은? (0) | 2022.03.25 |
메디포스트, 1400억원 투자 유치 (0) | 2022.03.17 |
에이치엘비(HLB(028300))가 불공정 거래 의혹 최종 '혐의없음' 처분 (0) | 2022.03.15 |
신속항원검사, PCR 대체? 진단키트株 수혜 기대감↑ (0) | 2022.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