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윤석열
- 레고켐바이오
- HK이노엔
- 레인보우로보틱스
- 셀트리온
- 현대로템
- 포스코케미칼
- 대웅제약
- 위메이드
- 현대차
- 챗GPT
- SK하이닉스
- LG에너지솔루션
- 에스디바이오센서
- 이재명
- 일동제약
- 한미약품
- SK바이오사이언스
- 삼성전자
- 특징주
- GC녹십자
- KT
- ChatGPT
- 삼성sdi
- 오늘의명언
- 신풍제약
- 유한양행
- 에이프로젠
- 오늘의글
- 관심주
- Today
- Total
핫토픽 톱뉴스
전략매매신호 이론 본문
10% Oops 매도
[활용]
- 매도
1. 첫째날 종가는 range의 10% 이하의 천정에서 형성된다.
2. 둘째날, 첫째날의 고가 위에서 Gap을 이루면서 시작
3. #2가 만족하면 첫째날의 고가에서 매도
4. Stop loss:둘째날의 시가
- 매수
1. 첫째날 종가는 range의 10% 이하의 바닥에서 형성된다
2. 둘째날, 첫째날의 저가 아래서 Gap을 이루면서 시작
3. #2가 만족하면 첫째날의 저가에서 매수
4. Stop loss: 둘째날의 시가
[설명]
- 갭은 반드시 메워진다는 말이 있다.
강세나 약세로 마감한 다음날의 갭은 특히 그렇다.
이 전략은 일시적인 갭의 발생과 매워짐을 활용한 전략이다.
10% Oops 매수
[활용]
- 매수
1. 첫째날 종가는 range의 10% 이하의 바닥에서 형성된다
2. 둘째날, 첫째날의 저가 아래서 Gap을 이루면서 시작
3. #2가 만족하면 첫째날의 저가에서 매수
4. Stop loss: 둘째날의 시가
- 매도
1. 첫째날 종가는 range의 10% 이하의 천정에서 형성된다.
2. 둘째날, 첫째날의 고가 위에서 Gap을 이루면서 시작
3. #2가 만족하면 첫째날의 고가에서 매도
4. Stop loss:둘째날의 시가
[설명]
- 갭은 반드시 메워진다는 말이 있다.
강세나 약세로 마감한 다음날의 갭은 특히 그렇다.
이 전략은 일시적인 갭의 발생과 매워짐을 활용한 전략이다.
===========================================
1-2-3-4's 매도
[활용]
- 매도
1. ADX는 25이상이거나 클수록 좋다.
2. MDI가 PDI보다 높아야 한다.
3. 2-3일의 자율 반등을 기다린 후 이때 자율 반등은 첫째 날의
고점과 저점 보다 이후 2-3일의 고점과 저점이 높아지는
캔들의 형태로 Rally Day를 말한다.
4. 자율반등의 마지막 날에는 Inside Day패턴이 나타나면
더욱더 좋다.
5. 4일째 되는 날 직전 날의 저점 보다 반단위호가 아래에서
매도를 한다.
6. 최초의 손실중지는(Stop loss) 전일 캔들의 고점으로 정한다.
7. 목표 수익에 도달하면 추격매수로 청산을 한다.
- 매수
1. ADX가 25이상이거나 혹은 RSI가 70이상인지를 확인한다.
(매수 심리가 강하다는 증거)
2. PDI가 MDI보다 높아야 한다.
3. 2-3일의 조정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 이때 조정이라 함은
첫째 날의 고점과 저점보다 점점 낮아지는 캔들의 형태를
말한다.
4. 조정의 마지막 날에는 Inside Day패턴이 나타나면
더욱 더 좋다.
5. 4일째 되는 날 직전 날의 고점보다 반단위호가 위에서
매수를 한다.
6. 최초의 손실중지(Stop loss)는 전일 캔들의 저점으로 정한다.
7. 목표수익에 도달하면 추격매도로 청산을 한다.
- Larry Connors에 의해 고안된 전략
강한 추세를 보이는 주가가 3일 동안 작은 반전의 흐름을
보이다가 4일째에 다시 강한 움직임을 보이는 데서 착안
[설명]
- 트레이더에게 있어서 가장 어려운 일 중의 하나가
바로 초기 매수 신호를 놓치고 급등하는 주식과
초기 매도 신호를 놓치고 급락하는 주식에 대한
매매시점 선정이다.
즉 경험상으로 어느 시점에서 매수매도/를 해야하는 지는
알지만 주식의 움직임이 매우 급격해서 시장진입의 시점을
놓쳐버린 경우의 대처방안이 어떠해야 하느냐 하는 점이다.
트레이더는 대단한 심리적 갈등을 겪는데 결론적으로 보면
일단 급등종목의 추격매수는 금물이다.
이 전략을 개발한 래리 코너스는 급등/급락하던 주식이
한 3일 정도의 휴식을 취한 후 다시 원래의 추세로 복귀하는
경우가 매우 빈번하게 일어난다는 것을 체감하고
이 3일정도의 휴식 즉 눌림목을 이용하여 매매를 행하는 것이
가장 좋은 매매원칙이라고 추천하고 있다.
즉 급등 후나 급락 후 2-3일의 조정기간을 이용해서 다시
이전의 추세로 복귀하기 전에 매매에 동참하는 전략인 것이다.
1-2-3-4's 매수
[활용]
- 매수
1. ADX가 25이상이거나 혹은 RSI가 70이상인지를 확인한다.
(매수 심리가 강하다는 증거)
2. PDI가 MDI보다 높아야 한다.
3. 2-3일의 조정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 이때 조정이라 함은
첫째 날의 고점과 저점보다 점점 낮아지는 캔들의 형태를
말한다.
4. 조정의 마지막 날에는 Inside Day패턴이 나타나면
더욱 더 좋다.
5. 4일째 되는 날 직전 날의 고점보다 반단위호가 위에서
매수를 한다.
6. 최초의 손실중지(Stop loss)는 전일 캔들의 저점으로 정한다.
7. 목표수익에 도달하면 추격매도로 청산을 한다.
- 매도
1. ADX는 25이상이거나 클수록 좋다.
2. MDI가 PDI보다 높아야 한다.
3. 2-3일의 자율 반등을 기다린 후 이때 자율 반등은 첫째 날의
고점과 저점 보다 이후 2-3일의 고점과 저점이 높아지는
캔들의 형태로 Rally Day를 말한다.
4. 자율반등의 마지막 날에는 Inside Day패턴이 나타나면
더욱더 좋다.
5. 4일째 되는 날 직전 날의 저점 보다 반단위호가 아래에서
매도를 한다.
6. 최초의 손실중지는(Stop loss) 전일 캔들의 고점으로 정한다.
7. 목표 수익에 도달하면 추격매수로 청산을 한다.
- Larry Connors에 의해 고안된 전략
강한 추세를 보이는 주가가 3일 동안 작은 반전의 흐름을
보이다가 4일째에 다시 강한 움직임을 보이는 데서 착안
[설명]
- 트레이더에게 있어서 가장 어려운 일 중의 하나가
바로 초기 매수 신호를 놓치고 급등하는 주식과
초기 매도 신호를 놓치고 급락하는 주식에 대한
매매시점 선정이다.
즉 경험상으로 어느 시점에서 매수매도/를 해야하는 지는
알지만 주식의 움직임이 매우 급격해서 시장진입의 시점을
놓쳐버린 경우의 대처방안이 어떠해야 하느냐 하는 점이다.
트레이더는 대단한 심리적 갈등을 겪는데 결론적으로 보면
일단 급등종목의 추격매수는 금물이다.
이 전략을 개발한 래리 코너스는 급등/급락하던 주식이
한 3일 정도의 휴식을 취한 후 다시 원래의 추세로 복귀하는
경우가 매우 빈번하게 일어난다는 것을 체감하고
이 3일정도의 휴식 즉 눌림목을 이용하여 매매를 행하는 것이
가장 좋은 매매원칙이라고 추천하고 있다.
즉 급등 후나 급락 후 2-3일의 조정기간을 이용해서 다시
이전의 추세로 복귀하기 전에 매매에 동참하는 전략인 것이다.
==================================
180's 매도
[활용]
- 매도 (하락추세)
1. 첫째 날은 종가가 당일 거래 범위의 고점에서 25%정도 안에서
마감된 후 둘째날 종가는 당일 거래 범위의 저점에서 25%정도
안에서 마감되어야 한다.
2. 주가는 10일 MA와 50일 MA의 아래에 있어야 한다.
3. 셋째날, 둘째날 저점보다 반단위호가 아래에서 매도한다.
4. 최초의 손실 중지(Stop loss)는 매도시점 보다 1단위호가
위에서 설정한다.
- 매수(상승추세)
1. 첫째 날은 종가가 당일 거래 범위의 저점에서 25%정도 안에서
결정된 후 둘째날 주가의 종가는 당일 거래 범위의 고점에서
25%범위 안에서 마감되어야 한다.
2. 주가는 50일 MA이나 10일 MA위에서 있어야 한다.
3. 셋째날, 둘째날 고점보다 반단위호가 위에서 매수한다.
4. 최초의 손실중지(Stop loss)는 매수시점 보다 1단위호가
아래에서 설정한다
단 하루의 추세반전이 있다가 다시 추세를 지속하는 상황에 착안
[설명]
- 흔히 상승하던 주가가 고점부근에서 잠시 하락세를 나타낸 후
그 다음날 바로 기존의 추세로 다시 복귀하는 모습을 많이
보아왔다. 물론 하락하던 주가가 저점 부근에서 잠시 상승세를
나타낸 후 다시 하락하는 모습도 마찬가지이다. 이는 순간적인
반전을 통해 기존의 추세가 강화되는 모습으로 이를 이용한
매매 전략이 바로 180인 것이다. 기존 추세로 복귀하는 날의
주가가 20일 이상의 신고가/신저가인 경우에는 더욱 신뢰도가
높아지고 수익율도 좋다고 할 수 있다.
이 날의 거래량 추이나 추세의 강세를 살피는 것도 매우 중요한
매매 포인트이다.
180's 매수
[활용]
- 매수(상승추세)
1. 첫째 날은 종가가 당일 거래 범위의 저점에서 25%정도 안에서
결정된 후 둘째날 주가의 종가는 당일 거래 범위의 고점에서
25%범위 안에서 마감되어야 한다.
2. 주가는 50일 MA이나 10일 MA위에서 있어야 한다.
3. 셋째날, 둘째날 고점보다 반단위호가 위에서 매수한다.
4. 최초의 손실중지(Stop loss)는 매수시점 보다 1단위호가
아래에서 설정한다
- 매도 (하락추세)
1. 첫째 날은 종가가 당일 거래 범위의 고점에서 25%정도 안에서
마감된 후 둘째날 종가는 당일 거래 범위의 저점에서 25%정도
안에서 마감되어야 한다.
2. 주가는 10일 MA와 50일 MA의 아래에 있어야 한다.
3. 셋째날, 둘째날 저점보다 반단위호가 아래에서 매도한다.
4. 최초의 손실 중지(Stop loss)는 매도시점 보다 1단위호가
위에서 설정한다.
단 하루의 추세반전이 있다가 다시 추세를 지속하는 상황에 착안
[설명]
- 흔히 상승하던 주가가 고점부근에서 잠시 하락세를 나타낸 후
그 다음날 바로 기존의 추세로 다시 복귀하는 모습을 많이
보아왔다. 물론 하락하던 주가가 저점 부근에서 잠시 상승세를
나타낸 후 다시 하락하는 모습도 마찬가지이다. 이는 순간적인
반전을 통해 기존의 추세가 강화되는 모습으로 이를 이용한
매매 전략이 바로 180인 것이다. 기존 추세로 복귀하는 날의
주가가 20일 이상의 신고가/신저가인 경우에는 더욱 신뢰도가
높아지고 수익율도 좋다고 할 수 있다.
이 날의 거래량 추이나 추세의 강세를 살피는 것도 매우 중요한
매매 포인트이다.
=========================================
7% Plan 매도
[활용]
- 매도
1. 차트상 의미 있는 고점을 확인(20일 최고가를 의미 있는 고점
으로 하고 20일 최고가는 20일 최저가 보다 최근에 위치한다.)
2. 만약 주가가 고점으로부터 7%의 하락을 보이면 매도한다.
3. Stop loss는 매도 후 매도한 가격에서 3%의 가격에 매수를
설정한다.
- 매수
1. 차트상 의미 있는 저점을 확인 (20일 최저가를 의미 있는 저점
으로 하고 20일 최저가는 20일 최고가 보다 최근에 위치한다.)
2. 만약 주가가 저점으로부터 7%의 상승을 보이면 매수한다.
3. Stop loss는 매수 후 매수한 가격에서 3%의 가격에 매도를
설정한다.
[설명]
- 간단하면서도 위험이 적은 기법중 하나가 바로 7 % plan
전략이다. 이 전략은 많은 이론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단순히
상승과 하락의 크기를 측정하여 매매하는 기술인데 주가가
상승이나 하락을 시도하면 당분간 같은 추세로 움직이는 것이
통례인데 이를 이용하여 고점과 저점에서 매매하는 전략이다.
7% Plan 매수
[활용]
- 매수
1. 차트상 의미 있는 저점을 확인 (20일 최저가를 의미 있는 저점
으로 하고 20일 최저가는 20일 최고가 보다 최근에 위치한다.)
2. 만약 주가가 저점으로부터 7%의 상승을 보이면 매수한다.
3. Stop loss는 매수 후 매수한 가격에서 3%의 가격에 매도를
설정한다.
- 매도
1. 차트상 의미 있는 고점을 확인(20일 최고가를 의미 있는 고점
으로 하고 20일 최고가는 20일 최저가 보다 최근에 위치한다.)
2. 만약 주가가 고점으로부터 7%의 하락을 보이면 매도한다.
3. Stop loss는 매도 후 매도한 가격에서 3%의 가격에 매수를
설정한다.
[설명]
- 간단하면서도 위험이 적은 기법중 하나가 바로 7 % plan
전략이다. 이 전략은 많은 이론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단순히
상승과 하락의 크기를 측정하여 매매하는 기술인데 주가가
상승이나 하락을 시도하면 당분간 같은 추세로 움직이는 것이
통례인데 이를 이용하여 고점과 저점에서 매매하는 전략이다.
=========================================
OBV-sig와 골든크로스
[활용]
- OBV 값이 OBV signal 값을 상향돌파하면 신호발생
[설명]
- OBV는 현재의 주식 시장이 매집 단계에 있는지 분산 단계에
있는지를 분석할 수 있으며, 특히 주식 시장이 큰 변동 없이
정체 상태에 있을 때 주가의 추세 방향을 예측하는데
유용한 지표입니다.
- 주가는 계속 하락하고 있지만 OBV는 횡보할 경우,
조만간 주가 상승이 예상되고
주가는 계속 상승하고 있지만 OBV는 횡보할 경우,
조만간 주가 하락이 예상된다.
- 주가가 횡보하고 있을 때 OBV 선의 고점이 계속 상승할 경우
조만간 주가 상승이 예상되고,
OBV선의 고점이 계속 하락하는 것은
조만간 주가 하락이 예상됩니다.
[계산식]
- OBV = if(C>C(1), OBV(1)+V, if(C<C(1), OBV(1)-V, if(C==C(1), OBV(1),0))
'주식관련(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권가 주요뉴스 (0) | 2023.04.19 |
---|---|
국가산업단지 조성전략 및 추진체계 (0) | 2023.04.09 |
데스 캣 바운스 패턴이란? (0) | 2023.03.29 |
캔들형태별 상승, 하락 찾기 (0) | 2023.03.28 |
캔들, 슈팅스타 차트 (0) | 2023.03.28 |